민관합동 협의체 출범으로 석유화학 산업 위기 대응
20일, 산업통상자원부 주재로 석유화학기업과 협회가 모여 민관합동 비상대응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하였습니다. 이 협의체는 최근 석유화학 업계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글로벌 경기 부진과 플라스틱 규제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세계 경기 부진으로 수출과 생산 감소
최근의 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인해 한국 석유화학 부문은 수출과 생산에서 감소를 겪고 있습니다. 2023년 상반기의 석유화학 부문 수출액은 232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수출액이 23% 감소하였습니다. 더불어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를 생산하는 'NCC(Naphtha Cracking Center)' 가동률은 71%로, 지난해와 비교해 16%p 감소하였습니다.
협의체의 주요 참석 기업 및 협회
협의체 출범식에는 산업부 1차관을 비롯해 국내 석유화학 업체와 석유화학협회가 참석하였습니다. 주요 참석 기업으로는 롯데케미칼, SK지오센트릭, 에스오일, LG화학, 한화솔루션, 한화토탈에너지스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대응 전략과 협의 내용
출범식에서는 주요 대응 전략으로 나프타 조정관세 영세율 비용 절감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고부가 및 친환경 제품으로의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방안도 검토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프타 조정관세 영세율 비용 절감: 협의체는 나프타 조정관세의 영세율 비용 절감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원가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고부가 및 친환경 제품: 석유화학 산업은 고부가가치 제품 및 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으며, 첨단소재 해외 원천기술 확보와 탄소저감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 안전관리 강화: 협의체는 석유화학 산단의 안전관리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 교환도 진행하고 있으며, 안전성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미래로 향하는 비전
산업부 1차관은 "현재의 업황 부진이 경기변동적 요인과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여건 변화에서 함께 기인한 만큼, 단기적 위기극복 방안 외에도 우리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혁신방안을 장기적 시작에서 고민할 시점이다"며 "오늘 발족된 협의체를 민관 협력 플랫폼으로 삼아, 석유화학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기업들과 함께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현재 글로벌 경기 부진과 규제 확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산업부와 기업들이 협력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장기적인 구조적 혁신을 향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나프타 조정관세, 친환경 제품 전환, 안전성 강화 등이 그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미래를 향한 비전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 기업, R&D 역량 강화로 위기 극복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중국의 자급률 확대와 탄소중립 요구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R&D(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신사업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인 LG화학, 롯데케미칼, 금호석유화학 등은 이를 위한 노력을 집중적으로 기울이고 있으며, 이로써 석유화학 산업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의 대전환 포트폴리오
LG화학은 전지 소재, 친환경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글로벌 혁신 신약이라는 3대 신성장동력을 설정하고 해당 분야의 매출 비중을 끌어올리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2022년 21%에서 2030년 57%로의 매출 비중 상승을 목표로 하며, CEO인 신학철 부회장이 R&D 인재 확보에 직접 나서고 있습니다.
LG화학의 글로벌 인재 확보 노력
신 부회장은 미국 뉴욕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에서 개최된 'BC투어' 행사에 참석하며 현지 R&D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미국을 방문하였습니다. 이 행사에는 미국 주요 대학의 석·박사 40여명이 초청되었으며, 신 부회장의 노력으로 인재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롯데케미칼의 2030비전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50조원의 매출 목표를 담은 '2030비전'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비전은 고부가 스폐셜티 제품 확대, 수소에너지, 전지소재, 리사이클 등 신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여 2030년 전체 매출의 60%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롯데케미칼의 R&D 역량 강화
롯데케미칼은 2030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R&D 역량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두 차례 R&D 컨퍼런스를 개최하였습니다. 두 번째 컨퍼런스에서는 규모를 두 배로 늘려 국내 주요대학 이공계 석·박사 연구원 100여명을 초청하였습니다. 김교현 부회장은 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리크루팅을 통해 역량 있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금호석유화학의 R&D 집중
금호석유화학은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핵심 사업 강화,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R&D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호석유화학은 탄소나노튜브(CNT)를 활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소재 개발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 제품의 R&D를 통해 미래 신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R&D 역량 강화를 통해 신사업을 가속화하고 미래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이 각자의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며 R&D에 힘을 쏟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고 미래의 성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